경조사와 경조사비

결혼을 하면, 장례를 치르면, 경조사비를 받게 된다.

이것은 본래 긍정적이고 선한 의도로 출발하였을 것이다.

축하와, 위로를 건네며 품앗이 개념의 금전적 지원을 행하는 것이다.

시작은 좋았고, 지금도 겉보기에는 그럴싸해 보인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고 받는 측면도 당연히 남아 있다.

허나 대부분의 것들이 그러하듯이, 시간이 지날수록 본래의 의미가 변질, 퇴행하여 지금에 이르러서는 금전적 이득을 취하려는 수단으로서 인식이 강해지고 있다.

이득 자체를 목표로 하지 않더라도, 최소한 뿌린 것은 거두어야 한다는 마음이 대부분의 사람 가운데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배우자나 부모나 자식이나 누군가가 경사를 치르면, 최대한 그것을 홍보하고 염치없이 초대장을 남발하는 사람도 있으며 경조사의 시기를 가장 좋은 때로 정해 최대한의 이익 혹은 환수를 계산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누군가가 결혼한다는 소식이 들리면, 아니 그 소식이 들리기도 전에 사람들은 그 고지서가 날아올 것을 두려워한다. 그것이 축의금 납부 고지서임을 사람들은 알고 있다. 물론 결혼하는 사람에 따라 마음가짐이 다르고 정말 내 식장을 채워 주기만 했으면 하는 사람들도 많다.

허나 돈에 굶주린 현대인의 마음 속에는 계산적인 생각을 떨쳐 버릴 수가 없으니, 엑셀로 축의금 납부 내역을 만들고 누가 내게 얼마를 주었는가, 나는 상대에게 얼마를 주었는가 계산하고 비교하며 저울질하는, 눈쌀 찌푸리게 하는 하급 문화로 변질된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이 문화는 중단이 되기 어렵다. 이미 돈을 낸 사람들이 이를 거두어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다면 그냥 돈을 내자. 그리고 돌려받자. 그게 싫으면, 돈을 내지 마라. 그리고 돌려받지도 마라.

상대가 줄 가치가 있는 사람인지도 판단하고, 내가 돌려받을 수 있다고 생각되면 돈을 주라.

상대가 줄 가치가 없는 사람이라도, 내가 돌려받을 수 없다고 판단이 되더라도 필요하다 싶으면 돈을 주라.

그리고 결혼식장을 가면 식권을 받자.

Leave a Comment